사라진 ‘손 글씨’의 추억
“홍 이병! 너는 각개전투장 가지 말고 대기해” “네! 알겠습니다.” 군 입대 후, 논산 훈련소 훈련병 때 일입니다. 중대본부 서무계 일을 보는 김 상병이 차트 보고서 쓰는 일을 하자고 했지요. 종합각개전투장 훈련은 모두들 힘들어하는 시간이었는데 잘됐다 싶었습니다. 그런데 하루 종일 글씨를 쓰는 일도 만만치 않았지요. 차라리 동료들과 훈련받는 게 더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훈련기간 중 몇 차례 더 차출돼 글 쓰는 일을 도왔지요. 자대배치 후에도 차트 보고서 쓰는 일을 거의 전담했고 심지어 선임 상병의 ‘펜팔편지’를 대필해줄 때도 있었습니다. 회의서류 등을 만들 때는 속칭 가리방(등사판의 일본어)글씨 쓰는 일을 전담했지요.
가리방은 철필(鉄筆)로 기름종이를 긁어 잉크를 묻혀 같은 내용을 여러 장 만드는 인쇄기술입니다. 미세한 쇠줄판위에 기름종이를 올려놓고 철필(鉄筆)로 글씨를 쓴 뒤 등사판에 올려 롤러에 잉크를 묻혀 문지르면 글씨가 인쇄되는 것이지요. 글씨가 선명하게 인쇄되도록 힘주어 쓰면서도 기름종이가 찢어지지 않도록 해야 하는 나름의 요령이 필요합니다. 손목에 일률적으로 힘을 줘야하고 집중력도 필요했지만 쏟아지는 칭찬에 힘든 줄도 몰랐지요. 입대 전, 2년 가까이 면서기를 하는 동안 철필 글씨를 도맡았고 덤으로 술도 얻어먹었습니다. 그렇게 손에 익은 일이니 선임 병들이 놀라는 건 당연했고 군 생활 3년 내내 손마디에 굳은 살 생기도록 글씨를 썼지요.
제대 후, 복직하고 경기도청으로 자리를 옮겼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글씨 잘 쓰는 놈으로 소문이 났습니다. 그 덕분에 모두가 선호하는 인사계로 배치 받을 수 있었지요. 그 때는 거의 모든 서류를 국, 한문 혼용해 쓰기 때문에 며칠씩 글씨만 쓸 때도 있었습니다. 가끔 내무부에 차출되어 올라가 며칠씩 글씨를 써주기도 했는데 내무부로 올라오라는 권유를 받았을 정도로 인정을 받았었지요. 공직생활을 하면서 글씨 덕을 많이 보았습니다. 다른 부서의 차드(chart) 보고서를 써주기도 하면서 많은 교분을 쌓을 수 있었지요. 제가 지닌 실력이상으로 인정을 받으며 다시 인사부서로 배치 받아 일하고 비서실로 간 것도 글 솜씨 덕을 많이 보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제1야당의 신임대표가 국립대전현충원 방명록에 쓴 글씨체가 '악필'이라는 지적이 있었지요. 같은 당 국회의원을 지낸 어느 분이 “신언서판(身言書判)”이라며 필체를 조롱했습니다. 그러자 “MZ세대를 모르는 ‘꼰대문화’라는 비판도 뒤따랐지요. 어쨌든 손 글씨가 불러온 파장은 적지 않았고 한 동안 잊고 살았던 손 글씨가 화두가 되었습니다. 키보드 시대에 접어들면서 사라진 손 글씨가 세상에 다시 소환되는 계기가 된 것이지요. 글씨체 하나로 세대 간 의견이 갈리고 이념 간 해석이 달라졌습니다. 글씨는 마음의 본바탕을 보여준다지만 이제 손 글씨에 대한 편견은 거의 사라졌지요. 글씨 잘 쓴다고 공부 잘하는 것도, 일 잘하는 것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글씨 잘 쓰는 것보다 생각의 깊이와 넓이, 사람의 인성이 중요하다는 생각이지요.
키보드 시대에 접어들면서 손 글씨는 사라졌습니다. 글씨를 잘 쓰는 것보다 컴퓨터를 잘 다루는 사람이 인정받는 세상이 된 것이지요. 글 솜씨보다 다양한 생각과 글로벌한 가치관과 미래를 내다보는 혜안이 중요한 덕목이 되었습니다. 생일날이나 어버이날에 아들, 며느리나 손주들의 손 편지를 받으면 다른 어느 선물보다 기쁘고 행복하지요. 그건 돈보다 가치 있는 정성이 담겨있다는 생각 때문입니다. 글씨는 겉모양보다 마음과 정성이 얼마나 담겨 있느냐가 중요한 것이지요. 펜글씨와 한자(漢字)를 배워 공들여 글을 쓰면서 마음을 정리하고 다스리며 살았습니다. 이제 아들에게 평생을 함께 한 만년필을 물려줄 때가 되었지요. 그 손때 묻은 만년필로 글 쓰며 여여(如如)하게 살면 좋겠습니다.